[Jenkins] CI/CD와 Jenkins란 무엇인가?

CI/CD란 무엇인가?

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빠른 배포와 안정적인 품질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.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개념이 바로 CI/CD입니다.

CI/CD의 의미

  • CI (Continuous Integration, 지속적 통합)
    • 개발자들이 작업한 코드를 자주(보통 하루에도 여러 번)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    • 코드가 통합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와 테스트가 실행되어, 버그나 충돌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결과적으로 코드 품질이 높아지고, 협업이 원활해집니다.
  • CD (Continuous Delivery/Continuous Deployment, 지속적 제공/지속적 배포)
    • 지속적 제공 (Continuous Delivery): CI 과정을 통과한 애플리케이션을 언제든지 배포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.
    • 지속적 배포 (Continuous Deployment): 변경 사항이 자동으로 프로덕션 환경까지 배포되는 것.
    • 즉, CD는 테스트를 통과한 코드를 빠르고 안전하게 실제 서비스 환경에 배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.

요약하자면, CI/CD는 코드 작성 → 빌드 → 테스트 →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소프트웨어를 더 자주, 안정적으로 출시할 수 있게 해주는 개발 방법론입니다.


Jenkins란 무엇인가?

Jenkins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CI/CD 도구입니다. Java로 개발되었으며,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 덕분에 다양한 빌드·테스트·배포 환경과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.

Jenkins의 주요 특징

  1. 자동화 파이프라인 지원
    • Git, SVN 등 소스코드 저장소와 연동해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실행.
    • 빌드 결과에 따라 배포까지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구축 가능.
  2. 풍부한 플러그인 생태계
    • 수천 개의 플러그인을 통해 Docker, Kubernetes, AWS, Tomcat 등 다양한 환경과 통합 가능.
  3. 손쉬운 확장성
    • 단일 서버에서 시작할 수 있고, 규모가 커지면 Master-Agent 구조로 확장 가능.
  4. 웹 기반 관리 UI
    • 직관적인 웹 대시보드에서 파이프라인 상태, 빌드 이력, 로그 확인 가능.

Jenkins의 활용 예시

  • GitHub/Gitea 저장소에 새로운 코드가 push될 때마다 Jenkins가 자동으로 빌드 실행.
  • 자동화된 테스트가 통과되면 Staging 서버 또는 Production 서버에 배포.
  • 예를 들어, Gitea 저장소의 Release가 업데이트될 때 Jenkins가 자동 빌드 후 Tomcat 서버를 재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정리

  • CI/CD: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(코딩 → 빌드 → 테스트 → 배포)을 자동화해 빠르고 안정적인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.
  • Jenkins: 가장 대표적인 CI/CD 도구로, 다양한 개발 환경과 연동하여 빌드, 테스트,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오픈소스 툴.

👉 결론적으로, Jenkins는 CI/CD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널리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.